‘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 타계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 타계

입력 2013-04-09 00:00
수정 2013-04-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대한 영국인을 잃었다”…영국 여왕, 총리 애도영국 정부 “장례는 다이애나비 때 수준으로 치를 것”

영국 총리 관저인 다우닝 10번가에 걸려있는 대처 초상화. 대처 전 총리는 지난 2009년 생존해 있는 정치인 가운데 첫번째로 총리 관저에 초상화가 내걸린 인물로 기록됐다.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오전 뇌졸중으로 숨졌다.  연합뉴스
영국 총리 관저인 다우닝 10번가에 걸려있는 대처 초상화. 대처 전 총리는 지난 2009년 생존해 있는 정치인 가운데 첫번째로 총리 관저에 초상화가 내걸린 인물로 기록됐다.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오전 뇌졸중으로 숨졌다.
연합뉴스
마거릿 대처(87) 전 영국 총리가 8일(현지시간) 오전 뇌졸중으로 숨졌다.

대처 전 총리의 대변인인 팀 벨 경은 “대처 전 총리가 오늘 아침 뇌졸중으로 운명했다고 가족들이 밝혔다”며 “이런 소식을 전하게 돼 매우 슬프다”고 말했다.

벨 경은 스카이뉴스를 통해 “이제 그를 다시 볼 수 없게 됐다”며 “대처는 영국의 가장 훌륭한 총리 중 한 명이었다”고 평가했다.

또 “대처는 국민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신을 바쳤으며 영국을 사랑했다”고 덧붙였다.

영국 왕실은 이날 비보에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크게 슬퍼했으며, 유족에게 위로의 뜻을 전달했다고 발표했다.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위대한 지도자이자 위대한 총리, 위대한 영국인을 잃었다”고 애도했다.

영국 정부는 대처 총리의 장례 절차는 본인의 유언에 따라 국장으로 치르지는 않지만, 과거 여왕의 모친과 다이애나비 장례 때와 같은 수준에서 준비키로 했다고 밝혔다.

존 메이저 전 총리는 “고인은 경제 개혁과 포클랜드 전쟁 승리 등 다른 지도자들이 이루지 못한 탁월한 업적을 남겼다”며 “진정한 힘을 지닌 인물이었다”고 회고했다.

야당인 노동당의 에드 밀리밴드 당수는 “대처 전 총리는 노선은 달랐지만 전 세대에 걸쳐 영국의 정치를 바꾼 특출한 지도자였다”고 조의를 전했다.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를 지낸 대처는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세 차례나 총선을 승리로 이끌며 ‘철의 여인’으로 불렸다.

노동당 내각이 의회에서 불신임결의를 당하고 해산된 직후인 1979년 총선에서 승리함으로써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에 취임하였다.

집권 후 긴축재정을 실시해 영국의 경제 부흥을 이끌고, 1982년에는 아르헨티나를 상대로 포클랜드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정치적 역량을 과시했다.

과감한 사유화와 노조의 와해, 교육·의료 등 공공분야에 대한 대폭적인 국고지원 삭감 등 획기적인 정책을 추진한 ‘대처리즘’으로 찬사를 받기도 했지만, 독단적인 정책 운용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1990년 유럽통합에 반대하다가 당 지도부의 반발에 부닥쳐 자진 사임했으며 1991년 5월 정계를 은퇴했다.

1992년 남작 작위를 받고 상원의원으로 활동을 재개했으나 10여 년 전 뇌졸중 증세로 대외 활동을 자제해왔으며 지난해에는 방광 질환으로 수술을 받기도 했다.

연합뉴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