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개발을 추진 중인 경제특구에 대해 외국 투자자들이 상당한 의구심을 갖고 있으며 이는 과거 합작사업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북한의 신뢰성 부족에 기인한 것이라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일 보도했다.
신문은 북한이 지난 6월 압록강의 섬 황금평과 나선 지역을 경제특구로 지정하고 착공식을 가졌지만, 황금평 지역의 경우 투자계약을 맺은 기업이 아직 없다면서 이렇게 전했다.
예전에도 비슷한 개발계획이 추진됐다가 무산됐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북한의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나 신뢰성에 확신이 서지 않는 한 중국 기업들을 포함한 외국 업체가 섣불리 투자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은 2002년 위화도와 황금평을 포함한 신의주를 경제특구로 지정해 개발을 추진한 적이 있으나 중국이 초대 특구 행정장관인 네덜란드 화교 출신 양빈(楊斌)을 탈세 혐의로 구속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2006년에도 압록강 섬인 위화도와 비단섬을 연계한 신의주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됐지만, 역시 중국이 지원에 소극적이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런 과정에서 소문만 믿고 투자에 나섰던 중국인들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큰 손해를 봤던 것.
북한이 지정한 나선특구는 1990년대 초 투자지역으로 지정됐다가 실패했던 지역이 일부 포함될 예정이다.
장롄구이(張璉괴<王+鬼>) 중국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교수는 “과거 다른 나라와 함께 일했던 북한의 경험이 신뢰도에 심각한 문제를 남겼고 이는 새 특구에 대한 투자를 가로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의 대북 제재와 예측 불가능한 북한 정치 상황 등의 요인 때문에 이런 특구는 성공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는 이어 “중국이 자국 기업들에 투자를 독려하고 지원하더라도 기업들은 매우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타 외국 투자자들은 이보다 더 자제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신문은 북한이 지난 6월 압록강의 섬 황금평과 나선 지역을 경제특구로 지정하고 착공식을 가졌지만, 황금평 지역의 경우 투자계약을 맺은 기업이 아직 없다면서 이렇게 전했다.
예전에도 비슷한 개발계획이 추진됐다가 무산됐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북한의 사업 추진에 대한 의지나 신뢰성에 확신이 서지 않는 한 중국 기업들을 포함한 외국 업체가 섣불리 투자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은 2002년 위화도와 황금평을 포함한 신의주를 경제특구로 지정해 개발을 추진한 적이 있으나 중국이 초대 특구 행정장관인 네덜란드 화교 출신 양빈(楊斌)을 탈세 혐의로 구속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2006년에도 압록강 섬인 위화도와 비단섬을 연계한 신의주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됐지만, 역시 중국이 지원에 소극적이어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런 과정에서 소문만 믿고 투자에 나섰던 중국인들은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큰 손해를 봤던 것.
북한이 지정한 나선특구는 1990년대 초 투자지역으로 지정됐다가 실패했던 지역이 일부 포함될 예정이다.
장롄구이(張璉괴<王+鬼>) 중국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소 교수는 “과거 다른 나라와 함께 일했던 북한의 경험이 신뢰도에 심각한 문제를 남겼고 이는 새 특구에 대한 투자를 가로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의 대북 제재와 예측 불가능한 북한 정치 상황 등의 요인 때문에 이런 특구는 성공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는 이어 “중국이 자국 기업들에 투자를 독려하고 지원하더라도 기업들은 매우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타 외국 투자자들은 이보다 더 자제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