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은 울고 노년이 웃는 이유는

중년은 울고 노년이 웃는 이유는

입력 2011-04-18 00:00
수정 2011-04-18 1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흔 다섯살은 인생에서 가장 불행한 나이?’

삶에 대한 만족감은 20대 후반부터 점점 하락했다가 45세 즈음에 최저점을 찍고 50대부터 다시 서서히 회복, 전체적으로 U자 곡선을 그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17일(현지시각)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벨기에 소재 마스트리흐트대학교의 이코노미스트 베르 반 랑드흐헴은 연구를 통해 연령별로 직면하는 환경적 특징을 분석해 이 같이 결론 내렸다.

즉 20대는 삶에 대한 근심·걱정이 비교적 적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 있지만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책임이 늘어나 만족감이 줄어든다.

랑드흐헴은 중년층이 느끼는 불행의 정도가 “실직하거나 가족을 잃는 것과 비슷하다”고까지 분석했다.

그러다가 50대가 되면 인생을 수용하는 법을 배우면서 20대에 맛봤던 인생의 만족감을 되찾는다. 그러나 두 연령대가 느끼는 만족감의 색깔은 조금 다르다.

랑드흐헴은 “청년이든 노인이든 누구나 65세보다는 25세가 되기를 원할 것”이지만 “다만 65세 즈음에는 자신 그대로의 모습에 만족하는 법을 배우기 때문에 행목한 것”이라고 말했다.

삶에 대한 연륜이 노년의 행복으로 연결된다는 주장은 랑드흐헴만의 것이 아니다.

지난달 영국 런던대학(UCL) 생물학과의 루이스 월퍼트 명예교수는 책 ‘당신 참 좋아보이네요(You’re Looking Very Well)’를 통해서 인생의 행복은 80세 즈음에 절정에 이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이가 들면서 중년 때 짊어졌던 책임감이 줄어들고 즐길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할 수 있는 여유가 바로 노년의 행복 비결이라고 월퍼트 교수는 주장한다.

그러나 행복한 노년층이 증가한다는 것은 노인부양과 자식양육의 책임감 사이에서 중년층의 고민이 그만큼 깊어짐을 의미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