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산림욕장/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산림욕장/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8-03 00:00
수정 2013-08-03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동문학가 윤석중 선생의 동요 ‘옹달샘’의 가사는 그대로 한 폭의 정겨운 그림이다. 깊은 산속 맑은 옹달샘 가엔 노루가 놀다 가고, 세수하러 내려온 토끼는 눈만 비비고선 이내 자리를 뜬다. 이른 아침 상큼한 샘가에 어디 노루와 토끼만 마른 입을 축이러 왔을까···. “숲과 함께 산다”는 지인의 근황을 접하고 문득 옹달샘 노랫말이 떠올랐다. 산림공무원인 그는 직장암 수술 뒤 항암치료를 하지 않고 자연휴양림 관리부서로 자리를 옮겨 일과 치료를 함께 한다고 했다. 수술 후유증은 전혀 없단다.

숲은 이처럼 누구의 상처든 넉넉한 품으로 받아낸다. 그러기에 ‘치유의 숲’이다. 전국 각지의 산에서 운영하는 자연휴양림과 산림욕장이 전초기지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통나무집을 갖춘 자연휴양림에서는 그저 편히 묵으며 심신을 씻으면 된다. 한낮에도 햇빛 한 점 들지 않는 산림욕장에서는 서늘한 샛길 체험까지 할 수 있으니 금상첨화다. 1960~1970년대 너도나도 나서 민둥산에 심은 어린 묘목들이 아름드리로 성장해 이렇게 보답을 하고 있으니 이 얼마나 뿌듯한 일인가. 1988년 경기도 유명산에 자연휴양림이 첫 개장됐을 때 운영을 걱정하던 일을 기억하는 이들로서는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20년동안 진행된 치산녹화사업은 많은 일화를 생산해 냈다. 총 370만㏊의 민둥산에 95억그루의 묘목이 심어졌다고 한다. ‘사방사업’으로 불린 나무심기에 국민들은 부역을 하듯 불려나가곤 했다. 이후 10~20년이 지날 무렵, 육림을 하는 ‘산림인’들은 애국주의자로 인식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대부분 산을 떠났다. 그 자리를 웰빙과 힐링세대가 차고 앉아 피톤치드라는 이름의 진한 송진 냄새를 맡으며 갖가지 병을 치료하고 있다. 산림공무원이 인기직업인 독일에서는 숲유치원을 유아교육기관으로 인정하는 등 일찍이 숲을 질환을 치유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48곳의 산림 테라피 기지를 운영하는 일본도 숲을 산림의학으로 발전시키는 작업을 시작했다. 미국 뉴욕 중심부의 광활한 센트럴파크는 도시 숲의 전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숲을 찾는 이들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한 해 방문객은 산림욕장(152곳)이 3700만명, 자연휴양림(173곳)이 1200만명에 이른다. ‘치유의 숲’에도 한 해 31만명이 찾는다. 지난해 기준 19세 이상 성인의 41%가 한달에 한번은 산에 오르고, 연간 산행 인구는 4억 600만명에 달한다. 산림청은 2017년까지 자연휴양림 180곳과 도시근교 산림욕장 233곳을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 무한에 가까운 숲의 효용이 반갑기만 하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8-03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