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반려동물/김상연 논설위원

[길섶에서] 반려동물/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9-14 16:40
수정 2021-09-15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끔 개를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길을 가다 아장아장 걷는 귀여운 강아지를 발견했을 때, 문득 외로움이 밀려들 때다. 키우던 개를 끔찍이 사랑해 해외 지사에 나갈 때도 비행기로 실어 갔다는 지인은 “밤늦게 집에 왔을 때 가족들은 다 자고 있는데, 개만 자지 않고 반겨 준다”며 반려견의 매력을 설파했다.

하지만 내 한몸 건사하기도 힘들다 보니 개를 키우는 건 솔직히 엄두가 나지 않는다. 때맞춰 사료 챙겨 주고, 목욕시켜 주고, 산책시켜 주고, 수시로 눈을 맞추며 놀아 줄 자신이 없다. 무엇보다 내가 맛있는 고기 반찬을 먹을 때 개는 사료를 먹어야 한다는 이유로 앞에서 침을 질질 흘리며 애처롭게 쳐다보는 반려견의 눈빛을 외면하기 힘들 것 같다.

며칠 전 거실 밖 베란다 난간에 까치 한 마리가 날아와 잠시 앉았다가 날아가는 것을 봤다. 그런가 보다 했는데 다음날도 까치가 날아와 같은 곳에 앉아 있었다. 순간 야생동물과 우연히 인연을 맺어 서로 죽고 못 사는 사이가 됐다는 사람의 사연을 TV에서 본 기억이 났다. 그래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거실문을 열고 나갔는데 웬걸 까치가 퍼드덕 날아가 버렸다. 그럼 그렇지, 의무는 다하기 싫고 좋은 것만 취하려는 내 속셈을 모를 리가 있나.

2021-09-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