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세월/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세월/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20-12-16 17:54
수정 2020-12-17 04: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뜻도 없고 덧도 없이 흘러버린 시간은 승객도 없이 무작정 종착역을 향해 달리는 야간열차처럼 허망했던 한 해의 마지막으로 치닫고 있다.

휘몰아치는 눈바람도 낭만의 세레나데로 아름답게 받아들일 줄 알았던 여유는 지금 우리에겐 없다. 크리스마스트리의 반짝임에도, 구세군의 종소리에도 무감해져서 멍하게 지나친다.

선악이 뒤엉켜 살기에 그럴까. 세상은 참으로 만만하고 호락호락한 게 아닌 것 같다. 악의 종자(種子)는 앞을 보지 못하는 게으른 인간을 일깨우듯이 회초리를 내리쳤다. 첨단의 기술을 만들어 낸 인간이 눈에 보이지도 않는 하찮은 미물에 이토록 무기력할까.

제아무리 혹독하다 한들 그 또한 지나가고 생채기 같은 흔적만을 남길 것이다. 고통의 시간은 영겁(永劫)의 세월에 비하면 한 줌 티끌에 불과할 것이고.

저 하늘의 별은 여전히 찬란하다. 아침이면 어김없이 해는 뜨고 천지를 다사롭게 비춘다. 깊이 내쉬었던 한숨 속에서도 우리가 몰랐던 능력과 인내심을 확인한 것은 소득이었다고 생각하자.

얼어붙은 한겨울 동토의 밑바닥에도 꽃의 시간이 영글고 있다. 서로 믿고, 사랑하고 웃음을 잃지 않을 때 꽃은 언젠가 봉오리를 피워 올릴 것이다.

sonsj@seoul.co.kr
2020-12-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