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개똥참외/이춘규 논설위원

[길섶에서]개똥참외/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10-04 00:00
수정 2010-10-0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름 끝무렵 고향집에 가니 노모께서 참외 비슷한 것 여러 개를 주시며 가져가 먹으라고 하신다. 남자 성인 주먹만 한 게 모양새가 좋지 않다. 색깔도 노랗지 않고 푸르스름하다. 보고 또 봐도 먹음직스럽지 못하다. 그래도 어머니 성의인데….

이름이 뭐냐고 물으니 ‘개똥참외’라고 하신다. 처음 들어보았다. 그 개똥참외는 초여름 마당 한구석 장독대 옆에 싹을 틔웠었다. 초기에 줄기와 잎은 영락없는 참외였다. 열매들도 어린 것은 참외 같았다. 그런데 다 자란 것들을 보니 멜론이나 조롱박도 조금씩 닮은 듯했다. 돌아와 사전을 찾아보니 ‘길가나 들 같은 곳에 저절로 생겨난 참외로, 참외보다 작고 맛이 없어 보통 먹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나중에 향기를 맡아 보니 은은하다. 맛도 참 좋다. 참외 맛은 아니고 고급 멜론 맛이다. 가족들도 맛있어해 몇 차례 나눠 먹었다. 개똥참외를 보며 식물의 종족 번식력을 생각했다. 움직이지는 못하지만 사람과 짐승, 벌, 나비, 바람, 물흐름까지 이용해 번식하는 지혜는 대단하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10-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