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칼람 전 인도 대통령과 위대한 유산/이옥순 인도연구원장

[글로벌 시대] 칼람 전 인도 대통령과 위대한 유산/이옥순 인도연구원장

입력 2015-12-13 18:10
수정 2015-12-13 2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이옥순 인도문화연구원장
사람들은 아버지가 죽은 사실은 곧 잊어버려도 유산을 잃어버린 건 평생 잊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16세기 영국에서 나온 이 경구는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아니 더 강한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요즘이 그 어느 때보다 돈이 중요시되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즘엔 돈과 재산이 많은 사람이 세간의 주목을 받고 흠모의 대상으로 떠오르며 부자가 되라는 덕담까지 오간다. 그럼에도 한 가지 다행인 것은 이 물질문명의 홍수 속에서도 청빈한 삶을 산 인물이 여전히 존경을 받는다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7월에 세상을 떠난 인도의 전 대통령 압둘 칼람의 삶을 한 해를 마감하는 이때 다시 짚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그는 우리나라를 두 번이나 방문했던 과학자로 2002년 대통령선거인단으로부터 90%의 압도적 지지를 얻어 대국 인도의 11대 대통령에 올랐다.

칼람 대통령은 인구 대다수가 힌두인 인도에서 무슬림이자 가난한 도서지방 출신의 마이너리티로 ‘퍼스트 맨’의 자리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로 그 이전부터 국민의 많은 사랑과 존경을 받았다. 국민적 영웅이 된 것은 과학자로서의 본분을 다한 데서 기인했다.

남부지방의 한 공과대를 졸업한 젊은 칼람은 1962년 인도우주연구소(ISOR)로 자리를 옮기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인도 경제가 빈약하고 가난한 인구가 많던 1970년대에 일찍이 저 넓은 우주를 향한 프로그램을 시작한 그는 1975년 인도 최초의 인공위성 아리야바타가 우주로 발사되는 데 공헌했다. 그 덕분에 지난 3월 현재 인도는 무려 77개의 인공위성을 우주 공간에 쏘아 올린 과학강국이 되었다.

아무래도 칼람의 국가에 대한 최대의 기여는 국방개발연구소장이 된 뒤에 나왔다고 할 수 있다. 그는 탄도미사일과 핵무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인도의 과학적 위상을 만방에 드높였다.

특히 아그니, 프리티비 등 여러 신형미사일 개발에 성공한 그는 ‘미사일맨’이란 애칭으로 불릴 정도로 인도인의 자존심을 한껏 세워 주었다. 더욱이 외국에서 유학한 적이 없는 그는 이른바 ‘토종과학자’의 힘도 보여 주었다. 그런 칼람 전 대통령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정부는 7일간의 애도기간을 선포했고, 전국이 그를 추모하는 물결로 뒤덮였다.

어렸을 때 신문팔이로 어려운 집안 살림을 보태던 그는 유명한 과학자와 대통령이 된 뒤에도 초심을 잃지 않고 고상한 생각을 지키면서 소박한 생활을 이어갔다. 젊었을 때 연구에 몰두하다가 자신의 결혼식을 놓친 칼람은 이후 결혼하지 않고 평생을 혼자 지냈고, 책을 제외한 어떤 선물도 받지 않고 검소하게 살았다. 자동차는 물론이고 에어컨, 냉장고, TV까지 없던 칼람은 신문과 라디오를 통해 세상 소식을 듣고 강의와 만남을 통해 젊은이들과 소통하는 걸 좋아했다.

청빈하게 살았던 그가 남긴 물질적 유산은 당연히 아주 적었다. 유산 목록은 2500권의 책, 셔츠 6벌, 바지 4벌, 구두 2켤레, 정장 3벌이 전부였다. 그러나 칼람 전 대통령이 남긴 보이지 않는 유산은 적지 않았다. “젊은이들은 다르게 생각할 용기가 필요하다. 발명할 용기,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갈 용기, 불가능한 걸 발견할 용기, 문제를 정복하고 성공할 용기를 가져야 한다”는 그의 말대로 인도의 수많은 젊은이가 광대무변의 우주를 향한 꿈과 그걸 실천에 옮길 용기를 위대한 유산으로 받았기 때문이다.
2015-12-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