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천안함 앞에 선 대통령의 눈물과 약속

[사설] 천안함 앞에 선 대통령의 눈물과 약속

입력 2010-04-20 00:00
수정 2010-04-20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한민국 군 통수권자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TV 앞에 섰다. 천안함 희생장병 46명의 이름을 이창기 원사에서부터 장철희 이병까지 하나하나 호명했고, 그들에게 이제 편히 쉬라고 명령했다. 눈물을 떨궜고, 다짐했다. 천안함 침몰 원인을 끝까지 낱낱이 밝혀내겠다고 했다. 그 결과에 대해 한 치의 흔들림 없이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것이며, 우리의 문제를 찾아내 바로잡겠다고 했다.

천안함 침몰 23일 만에 나온 대통령의 육성 다짐은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안함 침몰이 중대한 국가안보 사태로 규정된 지금 희생자 가족들의 아픔을 나누며 떨군 국정최고책임자의 눈물과, 국민들의 불안을 씻기 위해 보여준 군 통수권자로서의 단호한 다짐은 의미가 적지 않다고 본다. 국가 안보의 위기 앞에서 대통령이 촌음을 다퉈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리더십을 바로 세우는 일이다. 정파의 이해와 이념적 대립을 초월하는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나라의 중심을 바로 세우는 것이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인 것이다.

지금 이 대통령 앞에 놓인 대내외의 도전은 취임 이후 가장 위중하다. 눈앞의 안보위기는 말할 것 없고, 정부에 대한 불신과 사회적 갈등의 잠재적 위기 또한 만만치 않다. 이 대통령의 다짐에 대해 “초기대응 잘못부터 사과하라.”는 민주당의 혹평이나 “나약하고 감성적이었다.”는 자유선진당의 질타만 봐도 나라의 구심점이라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자리인지를 보여준다. 한쪽에서는 예의 북풍 음모론을 제기하고, 다른 쪽에서는 대통령의 단호한 의지를 의심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천안함 사태의 본질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것이 리더십의 출발점이다. 나라의 역량을 총동원해 천안함을 두 동강 낸 실체를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낱낱이 국민에게 보고해야 한다. 뒷일을 따지며 진상을 가감하는 일은 결코 없어야 한다. 그래야 정부가 신뢰를 되찾고, 국론 분열을 막을 수 있다. 그래야 그 어떤 후속조치를 취하든 국력을 결집할 수 있다. 오늘 여야 대표들과의 회담을 시작으로 이 대통령은 사회 각계의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기 바란다. 대통령이 국가의 안위 앞에서 한없이 겸허할 때 국론은 자연스레 통합의 길로 들어설 것이다. 후속 조치는 그런 신뢰 위에 논해도 늦지 않다.
2010-04-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