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이 나와 온 나라가 시끄럽다. 인터넷은 ‘달걀’ 혹은 ‘계란’ 검색으로 뜨겁다. 그런데 같은 식품을 놓고 두 개의 이름이 엇비슷하게 쓰인다. 겉으로 드러난 차이는 ‘달걀’은 토박이말, ‘계란’(鷄卵)은 한자어라는 것 정도다.
이경우 어문팀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경우 어문팀장
‘달걀’은 형태에서 ‘닭’과 관련이 있다. ‘닭의 알’이라는 구조에서 왔다. ‘닭+?+앓’에서 ‘달걀’이 됐다. ‘?’가 ‘의’와 같은 뜻을 지닌 말이었다. 발음하기는 상대적으로 ‘계란’이 수월해 보인다. 이런 이유로 ‘계란’을 선택하는 예도 적지 않다. 그렇다고 ‘달걀’을 발음하기가 어렵다는 얘기는 아니다. ‘달걀’은 쉽게 닭을 연상시키고 더 정감을 갖게 한다. 귀엽기도 하고 포근함이 느껴진다는 이들도 있다. 한때는 ‘계란’ 대신 ‘달걀’이 권장되기도 했다. ‘달걀’이 토박이말이라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러나 ‘계란’을 쓰지 말라는 얘기는 아니었다. ‘계란’을 써도 좋지만, 이왕이면 순우리말인 ‘달걀’이 좋지 않겠느냐는 취지였다. 이런 이유들로 ‘달걀’을 더 선호하는 이들도 있다.
북녘에선 ‘달걀’이 아니라 ‘닭알’이라고 한다. ‘닭’과 ‘알’이 합해진 형태다. 발음은 [달갈]로 한다. 계란도 닭알과 함께 문화어(북녘에서는 표준어를 문화어라고 함)지만 사전의 뜻풀이는 닭알에 돼 있다. 계란의 뜻풀이에는 닭알을 찾아보라는 화살표가 돼 있다. 역시 순우리말을 우선시한 것으로 보인다.
wlee@seoul.co.kr
2017-08-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