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물타기/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옴부즈맨 칼럼] 물타기/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입력 2013-05-15 00:00
수정 2013-05-15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이소영 서울대 소비자아동학과 4년
‘물타기’라는 말이 있다. 주식시장에서 매입한 주식이 하락했을 때 해당 주식을 저가로 사들여 매입평균단가를 낮추는 투자법을 일컫는 것으로, 같은 일에서 일어날 수 있는 손해와 이득을 평균함으로써 손해의 위험을 낮추는 것이다. 이 용어는 주식시장이 아닌 사회 전반에서도 흔히 쓰이는데, 논란이 되는 사안의 다른 면을 부각시키거나 반대 쟁점을 내세움으로써 논란의 농도를 낮추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때의 ‘물타기’는 대부분 부정적으로 사용되는데, 주식에서의 물타기는 개인의 손익에만 영향을 주지만, 사회에서의 물타기는 공동체 전체의 손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보도에 있어서 물타기는 매우 조심해야 할 지점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사안에서 어떤 부분이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하며,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그 중요한 부분을 놓쳐 버리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사안에 천착하기보다 이면에 숨겨진 구조적 문제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여객기의 ‘라면 상무’ 사건이나 남양유업 녹취록을 통해 단순히 개인을 도덕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그 속에 내재한 우리 사회의 갑을 구조를 파악하는 것, ‘손님은 왕이다’의 허구나 업계의 오랜 밀어내기 관행을 이끌어내는 것, 이런 것이 아마도 언론이 물타기를 피하면서도 사안에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이것은 ‘규탄’과 ‘고발’의 차이라고도 설명할 수 있겠다. 규탄은 주로 한 대상을 겨냥한 것으로, 논란의 중심은 지탄받고 있는 행위를 한 인물이 된다. 이 경우 개인의 행동 궤적이나 발언 등이 중요한 단서가 되며, 사건은 개인이 단죄받거나 잊힘으로써 해결된다. 반면 고발은 어떤 원칙과 기준에 어긋난 사안이 대상이 된다. 이것이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점이나 숨겨진 사실이다. 고발에서는 행위의 은폐와 그 악영향이 주목받으며, 고발당한 행위에 대한 수정과 보완의 방법이 논의됨으로써 사건이 해소된다. 규탄의 작업도 중요한 것이지만, 언론의 사회적 역할은 고발에 더 가까운 셈이다.

요즘 뉴스를 보고 있으면 마음이 혼잡스럽다. 방미 중 여성 인턴을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에 대한 기사 때문이다. 역대 최악의 스캔들이라고 할 만한 이 사건에도 한숨이 나오지만, 더욱 걱정이 되는 것은 이 사건이 고발로 나아가지 못하고 규탄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신문 곳곳에서 윤 전 대변인의 말, 시간대별 상황과 같은 자극적인 요소만을 다룰 때 ‘툭 쳤을 뿐’이라는 말에 담긴 잘못된 인식이나 고위 공직자의 윤리 부분은 자리할 공간이 없어진다. 이것이 물타기가 아니면 무엇이란 말인가.

고발과 규탄 사이의 균형을 잡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물론 나라를 대표하는 역할로 미국에 나가 추문을 일으킨 것은 규탄받아 마땅한 일이다. 변명들이 속속들이 거짓으로 밝혀지는 상황 역시 알려져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 우리가 진정 단죄하고 개선해 가야 할 부분이 과연 지금 보도되고 있는 것뿐인지 역시 고민해야 할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이런 주장도 하나의 ‘물타기’로 들릴 수 있겠다. 하지만 ‘노팬티’ 여부와 이러한 주장 중 어떤 것이 사건의 본질을 흐리고 있는지를 고민해 본다면, 답은 쉽게 나올 것이다.

2013-05-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