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팀플레이로 성과 낼 것”
장병규 위원장 간담회서 강조11월엔 4차혁명 로드맵 제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변하는 일자리 변화에 대응하고 혁신 성장의 밑그림을 그리게 될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26일 서울 세종로 KT빌딩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위원회 현판식에서 장병규(오른쪽 다섯 번째) 위원장이 유영민(네 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영주(여섯 번째) 고용노동부 장관 등과 함께 손뼉을 치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현판식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장 위원장은 “위원회는 정부 부처에서 만들어 온 정책과 시행 방안에 민간의 목소리가 많이 반영되도록 심의 조정하는 것이 핵심 업무”라고 강조한 뒤 “특정 부처에 휘둘리는 것이 아니라 민간과 주무 부처, 청와대가 팀플레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제 장점은 나이와 팀플레이에 능하다는 것”이라며 “이런 장점을 살려 민간의 목소리를 잘 전달하고 정책을 조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규제 완화 등 생산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혁신성장의 세부 안을 내놓게 된다. 문재인 정부의 소득 주도 성장을 완성시킬 또 하나의 축으로 평가된다. 추석 연휴가 끝난 다음달 초 1차 회의를 열고 11월 중에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본 정책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간담회에서 위원들은 국민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 이행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과학기술, 산업, 고용, 사회 등 분야별로 구체적 밑그림을 연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범정부 차원의 4차 산업혁명 종합대책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장 위원장은 “4차 산업혁명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은 긴 호흡으로 가야겠지만 처음부터 크게 가져가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것보다 작게 성과들을 보여 주는 것이 길게 봤을 때 초석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7-09-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