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에 ‘전구체 공장’ 준공
축구장 3개 넓이… 반응기 20기 설치年 전기차 50만대 배터리 생산 가능
“원료·전구체·양극재 자급 체제 구축
생산되는 모든 제품 美 IRA에 적합”

포스코퓨처엠 제공
포스코퓨처엠이 전남 광양에서 연산 4만 5000t 규모의 전구체 공장 준공식을 진행한 10일 한 직원이 생산 설비 중 하나인 ‘반응기’를 살펴보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제공
포스코퓨처엠 제공
10일 전남 광양시 포스코퓨처엠 전구체 공장. 약 축구장 3개 넓이(2만 2400㎡)의 공장에서는 거대한 찜기 모양의 ‘반응기’ 20기가 쉴 새 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전구체는 배터리 소재인 양극재의 핵심 원료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으로 구성된다. 반응 공정은 전구체 제작 공정의 핵심으로 꼽히는데, 가루 형태의 니켈, 코발트, 망간에 순수(이온을 제거한 물)와 화학약품을 넣어 원하는 모양의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다. 노수진 포스코퓨처엠 광양 전구체 공장장은 “반응 공정은 배터리의 셀 용량이나 화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단계”라며 “고객사가 원하는 형태의 전구체가 이 단계에서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퓨처엠이 연간 전기차 약 50만대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규모의 전구체 생산 공장을 준공했다. 이번 전구체 자급화로 포스코그룹은 탈중국 배터리 소재 공급망을 완성하게 됐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날 전남 광양시 율촌사업단지에서 전구체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 이 공장은 연간 4만 5000t 규모의 전구체를 생산할 수 있는데, 4만 5000t은 전기차 5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이 공장에서 생산되는 전구체는 모두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북미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배터리에 들어가는 양극재에 사용된다.
이번 전구체 공장 준공으로 포스코그룹은 배터리 소재에서 중국에 의존하지 않는 공급망 자립을 이뤘다고 밝혔다. 포스코퓨처엠이 전구체와 양극재, 음극재 제작을 맡고 해당 소재의 원료가 되는 리튬과 니켈, 흑연 등의 원료를 포스코인터내셔널 등을 통해 공급하기 때문이다.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이번 전구체 공장 준공으로 ‘원료-반제품(전구체)-양극재’에 이르는 자급 체제를 완성했다”고 말했다.
포스코가 공급망 자립에 집중한 배경에는 미국의 탈중국 공급망 정책이 자리한다. 현재 미국은 중국 등 특정 국가의 통제 수준이 강한 기업을 ‘해외우려기관’(FEOC)으로 규정하고 세제 혜택에서 배제하고 있다. 미국 배터리 공장들이 FEOC로 규정된 중국 기업에서 부품이나 광물을 공급받는 경우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구체는 한국의 대중 수입 의존도가 지난 3월 기준 90%를 넘길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은 소재다.
한동수 포스코퓨처엠 광양 양극소재실장은 “포스코퓨처엠이 생산하는 배터리 소재는 모두 100%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적격품”이라며 “이번 전구체 공장 준공이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국산 배터리 소재가 양적으로 팽창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