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14만 가구보다 29% ↓
“집값 상승 자극할 수 있다” 우려

올해 하반기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총 10만 323가구로 집계됐다. 올 상반기 14만 537가구보다 29% 줄어들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 16만 3977가구와 비교하면 39% 감소한 물량이다. 하반기 기준으로는 2015년 이후 가장 적은 숫자로, 집값 상승을 자극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 하반기 수도권에 5만 2828가구가 들어선다. 경기 3만 379가구, 서울 1만 4043가구, 인천 8406가구다. 경기는 상반기와 물량이 비슷하지만 서울과 인천은 상반기 대비 각각 20%, 27%씩 적다. 지방은 물량 감소 폭이 더 크다. 총 4만 7495가구가 입주해 8만 215가구가 입주한 상반기보다 41%나 줄어든다.
서울은 동대문구 4169가구, 송파구 2727가구, 성동구 1882가구, 강남구 1584가구, 서초구 1097가구, 강동구 670가구 순으로 입주 물량이 공급된다. 동대문구에는 이문3구역을 재개발한 4169가구의 이문아이파크자이가, 송파구에는 2678가구의 잠실래미안아이파크가 들어선다. 청담르엘 1261가구, 래미안원페를라 1097가구 등 강남·서초 주요 지역에서 고급 신축 단지의 입주가 이어진다.
월별로 보면 7~10월까지는 월간 2만 가구 미만이었다가 그나마 11~12월에는 월간 2만 2000여가구씩 입주한다. 특히 오는 11~12월 동대문, 광명 등에서 대규모 단지 입주가 예정돼 있어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직방 관계자는 “지역별로 입주 시점이 분산돼 있고, 월별로 공급이 집중되는 구간도 있어 전세 수급 조정이나 가격 흐름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5-06-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