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여개사 자율규제 동참, 이달 중 실시…”성인물은 제외돼 한계”
국내 게임업체들이 주요 비즈니스 모델인 ‘확률형 게임 아이템’의 실제 확률을 공개하기로 했다. 그러나 공개 대상에 성인등급 게임은 빠져 ‘속 빈 강정’식 자율 규제라는 지적이 나온다.23일 한국인터넷디지털엔터테인먼트협회(K-iDEA)에 따르면 넥슨을 비롯해 엔씨소프트, 넷마블, 컴투스 등 국내 유수 게임업체들은 이달 안으로 확률형 아이템의 실제 확률을 공개할 계획이다.
확률형 게임 아이템이란 게임 이용자가 마치 복권을 긁듯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모르고 구매하는 아이템을 뜻한다. 말 그대로 운이 좋으면 ‘희귀템’이라 불리는 훌륭한 아이템을 얻을 수 있지만 지불한 비용(현금 혹은 게임머니)보다 훨씬 못한 가치의 아이템이 나올 수도 있다.
그래서 한동안 게임업계 안팎에서는 이 확률형 아이템이 소비자의 알 권리 침해는 물론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지난 3월에는 이 아이템의 확률을 강제로 공개하도록 하는 내용의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법안은 게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유·무형의 결과물(점수, 경품, 게임머니 등)의 종류와 구성비율, 획득 확률 등을 게임물 유통·등급표시 등에 반영하도록 했는데 이달 열리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보인다.
게임업계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비난 여론이 비등하기 전부터 자정적인 노력에 나섰다. 60여 개 회원사를 둔 K-iDEA는 지난해 11월 확률형 아이템의 실제 확률을 올 상반기 안에 공개한다는 내용의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K-iDEA 관계자는 “확률 공개 방침은 게임 이용자들의 오래된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특정 아이템의 당첨 확률을 보여주는 방식은 게임사마다 자율적으로 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먼저 나선 업체는 국내 업계 1위인 넥슨이다. 넥슨은 전날 공지사항을 통해 “넥슨 및 관계사들이 서비스하는 게임들은 30일까지 차례로 자율규제를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넥슨의 자회사인 넥슨GT는 23일부터 자사가 서비스하는 ‘서든어택’의 확률형 아이템의 실제 확률을 별도로 보여줄 예정이다. 상점에 진열된 확률형 아이템에 소위 ‘확률 보기’(가칭)라는 아이콘을 두고 이를 클릭하면 실제 확률을 보여주는 웹페이지로 연결해주는 방식이다. 앞서 중소 게임사 일부가 시행한 적은 있지만 대형 게임업체가 실제 확률을 공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게임업체들의 자율 규제에 대한 실효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공개 대상이 ‘전체·청소년(12·15세) 이용가 온라인·모바일 게임’에만 한정되기 때문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국내 게임 가운데 성인 등급은 43%(695개)로 가장 많았고 전체 이용가가 35%(606개), 12세 이용가 12%(195개), 15세 이용가 7.7%(125개) 순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게임 내 결제 이용자들도 주로 성인층이기 때문에 업계의 이번 자율규제가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K-iDEA는 추후 공개 대상을 성인등급으로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게임사마다 이해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당장 실현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