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이미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아이클릭아트
MZ세대 직장인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연봉 못지않게 도덕성과 공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잡코리아가 20~40대 남녀 1252명을 대상으로 ‘연봉이 높아도 다니고 싶지 않은 회사’를 주제로 설문 조사한 결과 ‘부도덕한 관리자나 임원이 있는 회사’가 34.5%로 가장 많은 답변을 받았다. 이같이 응답한 비율은 40대 이상(30.8%)보다 20대(36.4%)와 30대(34.5%)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나와 맞지 않는 회사의 운영 방식이나 가치관’(33.9%), ‘공정하지 않은 보상 체계’(30.6%), ‘방향성 없는 업무 지시’(25.6%), ‘사내 무기력한 분위기’(15.4%), ‘불투명한 평가 제도’(14.6%)가 뒤를 이었다.
‘직장 내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관한 질문에는 전 세대가 공통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꼽았다.
또한 응답자들은 업무에 몰입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 ‘명확한 목적과 방향 제시’(49.8%)를 1위로 꼽았다. 이외에 ‘개인 역량에 맞는 직무와 업무량 부여’,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인정’ 등이 뒤따랐다.
변지성 잡코리아 콘텐츠마케팅 팀장은 “회사에서 어떤 사람들과, 어떤 분위기 속에서, 어떤 가치를 공유하며 일하는지가 중요한 시대”라며 “단순히 회사의 이름값과 좋은 처우만 좇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가치관과 방향성, 개인의 성장 가능성까지 고려하는 직장인이 많아진 만큼 기업도 인사와 조직문화 측면에서 심도 있는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