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인플레 지표 3년 반 만에 최저… 2회 연속 ‘빅컷’ 가능성

美 인플레 지표 3년 반 만에 최저… 2회 연속 ‘빅컷’ 가능성

최재성 기자
최재성 기자
입력 2024-09-29 23:36
수정 2024-09-30 06: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월 PCE 지수 전년 대비 2.2% 상승
파월 연준 의장 2% 전망치에 근접
한은 금리인하 시기·폭에 변수 될 듯

이미지 확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준비제도에서 이틀간의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한 후 언론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는 4년 반 만이다. 2024.9.18 EPA 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준비제도에서 이틀간의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는 ‘빅컷’을 단행한 후 언론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는 4년 반 만이다. 2024.9.18 EPA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기준금리 결정의 주요 지표로 삼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3년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2회 연속 ‘빅컷’(0.5% 포인트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미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빅컷 이후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두고 숙고하고 있는 한국은행의 고민이 한층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7일(현지시간) 미 상무부가 발표한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같은 달 대비 2.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롯한 연준 인사들이 기준으로 공언해 온 2%에 근접한 것은 물론 2021년 2월 1.8% 기록한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시장의 예상치 2.3%보다도 0.1% 포인트가량 낮았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물가 지표다.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반적인 물가상승률을 확인하는 지표라면 PCE는 실제 소비자가 체감하는 물가 상승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연준이 금리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연준의 연속 빅컷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미국이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9일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1월 FOMC에서 또 한번 빅컷에 나설 확률은 53.3%로 나타났다. 한 달 전만 해도 10%대에 머물렀던 것이 절반 이상으로 치솟은 셈이다. 지난 FOMC에서 빅컷을 단행한 이후 연준이 물가보다 고용지표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중을 밝혔지만, PCE 가격지수 등 물가지표가 미국 경기의 연착륙을 시사하면서 빅컷 가능성을 높이는 모습이다.

연준의 빅컷 이후 10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지만, 수도권을 중심으로 불어난 가계부채 문제로 인하 시점과 폭을 두고 한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은은 0.25% 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데, 연준이 11월에도 연거푸 빅컷에 나설 경우 한은의 결정에 또 다른 변수가 될 수 있다.

한은이 가계부채 상황을 고려해 미국의 움직임과 시차를 두고 11월까지 금리인하를 미룰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신성환 한은 금융통화위원은 최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빅컷은 선제적 움직임이었다고 판단한다. 한국은 미국과 상황이 다르다고 본다”며 “우리는 위험이 너무 크게 부각된 상황이라서 선제적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유영상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0월 금통위까지 열리기까지 한은이 그동안 강조해 왔던 금융안정 측면에서 충분히 확신을 갖기엔 한 달이라는 시간은 부족하다”고 말했다.
2024-09-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