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SME(중소상공인)의 지속 가능한 사업 성장을 위해 시작한 ‘스몰 브랜딩 지원’ 실험이 성과를 내고 있다.
이미지 확대
프로젝트 꽃 SME ‘브랜드 부스터’ 1기 참가자들이 수료식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네이버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프로젝트 꽃 SME ‘브랜드 부스터’ 1기 참가자들이 수료식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네이버 제공
5일 네이버는 지난해부터 시작한 ‘브랜드 런처’와 ‘브랜드 부스터’ 프로그램에 참가한 브랜드의 거래액이 평균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두 프로그램은 SME의 브랜드 지식재산권(IP) 구축부터 브랜딩 전략 수립까지 전문 코치진이 교육과 컨설팅, 실무 지원을 성장 단계별로 지원한다.
자신만의 브랜드를 갖추고자 하는 푸드·펫 SME를 대상으로 한 ‘브랜드 런처’에서는 전문 코치진과 시장·상품·고객군을 진단하고 1대 1 컨설팅으로 타게팅 고객과 상품 특색을 연결하는 브랜드 스토리 전략을 발굴했다. 4개월의 컨설팅·코칭을 수료한 30명의 사업자의 거래액과 주문 건수는 프로그램 이전과 비교해 각각 50%, 40% 성장했다.
국내산 꽃잎으로 꽃차를 만들어 판매하는 ‘꽃을 담다’ 스토어가 좋은 예시다. 해당 스토어는 ‘국내산 꽃잎을 정성스럽게 선물한다’는 브랜드 스토리를 정립해 브랜드 비주얼, 제품, 패키지까지 새로 개발했다. 그 결과 꽃을 담다의 매출은 250% 증가했고, 객단가도 100% 뛰었다.
‘브랜드 부스터’는 데이터 분석, D2C(소비자 직거래) 솔루션 활용, 광고 전략 분석 등 플랫폼 활용 역량을 높여 사업 현황에 맞는 브랜딩 전략을 수립하는 게 핵심이다. 해당 프로그램에 참가한 100여 명의 사업자 평균 거래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2% 이상 성장했다.
네이버는 SME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브랜딩 전략을 세분화하고 플랫폼 활용 역량 기반의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성규 네이버쇼핑 리더는 “창업에 이어 빅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는 중소상공인을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민나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