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우리은행의 남은 정부지분 매각 시점·방식 ‘동상이몽’

[경제 블로그] 우리은행의 남은 정부지분 매각 시점·방식 ‘동상이몽’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7-05-03 23:44
수정 2017-05-04 0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부선 지주사 전환 염두 속도

지난해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의 남은 정부 지분(21.4%)을 놓고 추가 매각설이 분분합니다. 우리은행 주가가 지난 2일 종가 기준으로 1만 4850원까지 뛰었기 때문인데요. 예보가 투입한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매각 가격(주당 약 1만4300원)을 넘어선 만큼 이제 ‘때’가 됐다고 보는 것이지요. 하지만 해당 부처와 관계자들의 셈법은 조금 다릅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아직 잔여 지분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한 것은 아니지만 일부 위원들은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 전후로 지분을 나눠 팔아야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주 전환 때까지 남은 지분을 다 들고 있으면 여전히 정부가 1대 주주인 만큼 경영개입 오해를 살 수도 있고, 그 전에 모두 팔면 정작 지주 전환 이후 주가가 오를 소지가 커 손해를 보게 될 수도 있어서지요. 지분을 조금씩 쪼개서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로 처리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우리은행 과점주주 의견도 ‘온도차’가 있습니다. 한 사외이사는 “기왕이면 해외 투자자가 2~3곳 들어와야 지배구조가 안정적이 될 수 있다”면서 “외부 입김이 덜 작용하는 데다 기업을 경영 논리로만 객관적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일부 과점주주들이 추가 지분을 원한다는 얘기가 처음부터 거론됐지만 대량 매입 땐 다른 과점주주의 ‘양해’를 구해야 합니다. 또 기업 재무 상황과 은행권 전망에 따라 실제 매각전에 뛰어들지도 계산기를 두드려 봐야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점주주 체제가 약화될 가능성은 적다는 게 금융권 안팎의 분석입니다. 특정 주주에게 지분을 대량 매각하면 뿔난 과점주주들이 지분을 팔고 나가겠다고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주가 추이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우리은행 측은 내심 지주사 전환에 중점을 두고 지분 매각을 서두르는 분위기입니다. 이광구 행장은 지난달 23~29일 런던과 프랑스를 돌며 현지 기관투자자를 상대로 기업설명회(IR)를 여는 등 바삐 움직이고 있지요.

걸림돌도 있습니다. 바로 정권 교체기라는 변수입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새 정부가 들어서야 협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선을 긋습니다. 예보 역시 “주인도 가만히 있는데…”라며 불편한 기색입니다. 어찌 됐건 9일 대선 후 실마리가 보일 것 같네요.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7-05-0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