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냉각은 서민 이야기일뿐…수백만원짜리 선물세트 ‘불티’

소비냉각은 서민 이야기일뿐…수백만원짜리 선물세트 ‘불티’

입력 2017-01-25 09:45
수정 2017-01-25 09: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통업계 설 선물 매출 감소에도 프리미엄 선물은 매진

경기 불황과 정국 혼란, 청탁금지법(김영란법) 등의 영향으로 올해 설 선물 시장은 전반적으로 얼어붙었지만, 가격이 수백만 원에 이르는 최고급 선물세트의 경우 내놓기가 무서울 정도로 잘 팔리고 있다.

소수 고소득층·자산가 등의 소비 여력은 여전히 넉넉하다는 뜻으로, 불황 속에 더 두드러진 우리 사회 ‘양극화’의 한 단면이다.

25일 유통업계에서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올해 설을 앞두고 한우·굴비·청과·와인 등에 걸쳐 ‘프레스티지 엘(L) 선물세트를 선보였다. ’프레스티지 엘‘은 최고급 상품만 엄선한 롯데백화점의 프리미엄 선물을 말한다.

1++ 등급 한우 중에서도 마블링 등급이 9에 이르는 한우 부위만 모은 ’엘 넘버 나인(L-No.9)‘ 세트의 경우 138만 원이라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 이미 준비된 100개가 동났다.

180만 원짜리 ’KY 트라피체 마노스 와인세트‘ 30세트도 일찌감치 매진됐고, 무려 한 세트 가격이 360만 원에 이르는 ’영광 법성포 수라 굴비‘조차 한정 수량 30세트 가운데 이미 20세트가 팔린 상태다.

올해 설을 앞두고 롯데백화점 ’프레스티지 엘‘ 매출은 지난해 설 당시보다 6% 넘게 늘었다.

특히 지난해 12월 5일부터 이달 22일까지 롯데백화점 전체 설 선물 매출(사전예약)이 2015년 같은 기간(설 전 일수 기준)보다 1.2%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월등한 실적이다.

작년 12월 26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설 선물 매출이 무려 9%나 줄어든 현대백화점에서도 프리미엄 선물은 오히려 호황을 누리고 있다.

역시 ’1++등급, 마블링 9등급‘ 한우 여러 부위로 구성된 90만 원짜리 ’현대프리미엄 한우 No.9‘은 지금까지 모두 1천500세트나 팔려나갔다. 지난해의 두 배로 세트 양을 늘린 사실을 고면, 매우 높은 소진율이라는 게 현대의 설명이다.

신세계에서도 이미 수 백만 원짜리 한정판 프리미엄 설 선물세트들은 품절된 지 오래다.

아직 설이 4일 정도 남았지만, 200만 원짜리 ’프리미엄 참굴비‘(30세트 한정), 120만 원짜리 ’명품 목장한우 특호‘(120세트 한정), 115만 원짜리 고가 와인 ’베가시실리아 우니코 리제르바 에스페샬‘(5병 한정) 등은 이미 매진됐다.

호텔 프리미엄 설 선물세트가 없어서 못 팔 정도다.

JW 메리어트 호텔이 내놓은 ’프리미엄 와규 스테이크 세트‘(68만 원·와규 등심 안심 2.4㎏), ’명품 한우 스테이크 세트‘(89만 원 안심 채끝 2.4㎏) 등은 23일 매진됐다.

더 플라자호텔에서도 ’특진상 냉장 한우 꽃등심‘(127만 원 4㎏), ’특진상 냉장 한우 갈비세트‘(97만 원 4㎏) 등도 97% 팔려 거의 품절 직전이고, ’와인 셀렉션 세트‘(350만원) 한정판 한 세트도 나오자마자 팔려나갔다.

대형 유통업체 한 관계자는 “수 백만 원짜리 프리미엄 상품은 주로 고소득층 VIP(최우수고객)들이 구매한다”며 “어중간하게 비싼 10만 원대가 아닌 수 백만 원짜리 한우·굴비 세트가 동난다는 것은 경기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슈퍼 소비계층‘이 건재하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최근 설을 앞두고 대형마트에서는 올해 설 선물로 1만~3만 원짜리 양말세트 매출만 작년의 두 배 이상으로 뛰었다. 그만큼 서민들 사이에서는 불황과 청탁금지법 등 때문에 선물 평균 단가가 크게 떨어졌다는 얘기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이 2015년 산출한 소비양극화지수는 167로, 1994년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높았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상류층과 하류층의 소비 격차가 크다는 뜻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