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지주 회장이나 행장실에는 ‘방 주인’만의 특별한 아이디어가 담겨 있다. 회장(행장)의 성격과 업무 스타일도 엿볼 수 있다.
리딩뱅크 탈환을 노리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KB국민은행장의 접견실에는 통상 놓여 있는 테이블이 단 한 개도 없다. 특이하게 의자를 사각 벽면에 다 붙여 놨다. 가운데 공간을 텅 비워 둔 것이다. 맞은편에 앉은 사람과의 간격이 꽤 멀지만 대신 시선의 ‘장애물’이 전혀 없다 보니 상대방의 전신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외국인이나 투자자를 만날 때 몸짓에서 느껴지는 신호들까지 전부 다 온전히 ‘스캐닝’할 수 있는 셈이다.
KB금융 측은 “상대를 더 가깝게 느끼려는 인테리어”라고 설명한다. 윤 회장이 주재하는 회의실에는 용도가 용도인지라 테이블이 있다. 그런데 이 테이블 또한 특이하다. 모양이 부채꼴 형태의 직사각형이다. 상석인 회장 자리에 앉으면 ‘사각지대’가 없다. 내부 직원들은 “테이블마저도 윤 회장의 꼼꼼한 성격을 닮았다”고 말한다.
실적 호전으로 어깨가 올라가 있는 이광구 우리은행장의 22층 접견실에도 테이블이 없다. 대신 소파를 캠프파이어하듯 원형으로 배치했다. 별다른 상석 없이 누구나 편하고 공평하게 얘기하라는 의미를 담았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좌석이 몇 개 안되다 보니 투자자나 바이어가 많이 찾아올 경우에 대비해 바로 위층에 비슷한 모양의 접견실을 마련해 놨다”면서 “고객과 대화와 소통을 많이 하라는 이 행장의 지침”이라고 전했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실을 찾는 사람들은 처음엔 적잖이 당황한다. 문에 ‘회장실’이라는 팻말이 없어서다. 대신 ‘Joy Together’라고 써 있다. 조이 투게더(함께 즐기자)는 김 회장이 공·사석에서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다. 자신의 영문이름 첫 글자인 ‘JT’에서 착안했다. 직원들과도, 고객들과도 늘 즐겁게 함께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외환은행을 인수한 뒤에는 하나은행과의 화학적 통합을 독려하기 위해 더 자주 쓴다.
함영주 하나은행장의 집무실 앞에는 ‘행장실’ 대신 ‘섬김과 배려’라는 문패가 달려 있다.
한동우 신한금융그룹 회장의 방은 ‘효율성’이 특징이다. 통상 금융지주 회장실은 집무실과 접견실, 회의실을 각각 분리해 놓은 경우가 많은데 한 회장은 집무실 안에 접견실과 회의실을 ‘일체형’으로 배치했다. 동선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8-1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