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틴 라가르드 IMF총재 서울대 강연
크리스틴 라가르드(58·여)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5일 “한국경제는 위기에 강하고 한국의 은행과 외채 비율, 거시경제의 운영을 볼 때 건강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도전에 직면할지 모른다”면서 “고령화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2025년에는 경제성장률이 2%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5일 서울대 국제대학원 강의실에서 열린 특강에서 우리 경제의 미래와 성장률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그는 특히 노동시장에서 포괄적인 개혁과 여성의 역할을 강조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할 때 한국 여성노동자의 입지가 취약하다”면서 “여성들은 일하면서 소비하기 때문에 잠재성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여성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국이 OECD 국가 가운데 남녀 임금 격차가 가장 크고, 여성 관리직 비율이 가장 낮다고 지적하며 “국가와 민간 차원에서 보육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여성이 일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키우는 것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재정건전성과 관련해 “노인복지나 보육 시스템은 비용이 많이 들지만 한국의 재정건전성은 좋은 상태”라면서 “한국이 복지에 투자하는 비용은 스웨덴의 5분의1에 불과하고 충분히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라가르드 총재는 또 “한국이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양분화된 노동 시장을 개혁하고 서비스 분야의 생산성을 높이면 앞으로 10년간 3.5~4.0%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IMF의 국가별 쿼터(출자 지분)를 늘리는 방안에 대해서는 “쉽지 않은 일”이라면서 “합의가 필요한 문제인 만큼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 금융기관 최초의 여성 지도자로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라가르드 총재는 일과 가정을 양립하는 비결을 묻는 여학생의 질문에 “양립할 수 없는 게 당연하다”면서 “자신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두 가지를 100% 성공하지 못해도 죄책감을 느끼지 말라”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3-12-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