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베트남 진출 현장 가보니
│호찌민 강아연기자│‘글로벌 롯데’의 꿈이 베트남에서 움트고 있다. 호찌민시의 롯데마트 남사이공점은 외국 직영점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힘차게 순항하고 있다. 롯데가 위탁경영을 맡은 다이아몬드백화점도 한국식 백화점 운영 노하우를 접목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5일(현지시간) 롯데마트 남사이공점에 들어서자 시끌벅적한 흥겨움이 곳곳에 가득했다. 한국에서 주말의 마트 분위기와 다를 바 없었다. 이영노 롯데마트 베트남법인 팀장은 “주말이면 방문객이 평일의 3배나 되고 구매고객이 1만 2000명에 이른다.”고 말했다.

롯데백화점 제공
롯데가 위탁 경영을 맡고 있는 베트남 호찌민시 다이아몬드백화점 매장.
롯데백화점 제공
롯데백화점 제공
2008년 12월 남사이공점이 들어선 호찌민시 7군은 시내 중심지와 신도시 개발지의 중간 지점이며 상권에 140만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 팀장은 “롯데마트가 들어선 뒤 주변 땅값이 오르고 아파트값이 2배가량 뛰었다.”고 귀띔했다.
호찌민시에는 베트남 국영업체 ‘쿤’과 프랑스계 ‘빅C’, 독일계 ‘메트로’ 등이 앞서 할인점을 열었다. 뒤늦게 뛰어든 롯데마트가 내세운 경쟁 전략은 철저한 현지화와 차별화다. 자존심 강한 베트남인들을 떠받들어 주면서 매장 구성 및 운영을 현지 생활 패턴에 맞췄다. 베트남인들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점을 감안, 개점시간을 한국보다 2시간 빠른 오전 8시로 정했다. 냉장고 보급률이 21%로 낮아 신선식품을 가장 늦게 사는 점에 착안, 한국과 달리 신선 코너를 매장 안쪽에 배치했다.
차별화도 강화했다. 총 면적 1만 9800㎡(6000여평), 3층으로 구성된 매장에 문화센터·롯데시네마·패밀리 레스토랑·볼링장·당구장 등을 들여놓아 쇼핑과 문화생활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했다. 또 진열 상품 종류를 경쟁 할인점의 120% 이상 갖추도록 했다. 이 같은 노력이 호응을 얻어 남사이공점의 올해 1~2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나 늘어났다. 납품을 원하는 제조업체도 지난해 800여개에서 1200여개로 늘었다. 롯데마트는 베트남에 2018년까지 20개 점포를 연다는 계획이다.
●한국식 백화점 운영 노하우 접목
롯데백화점은 베트남 백화점 중 매출규모 1위인 다이아몬드백화점을 경영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에도 롯데백화점 운영팀은 마케팅을 강화하고 해외 유명브랜드의 입점을 확대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매출 신장률은 전년 대비 16.5%를 기록했다. 운영팀은 우수고객(MVG) 라운지를 설치하고 고객상담실, 멤버십 서비스, 모니터링 제도 등을 새롭게 운영하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2013년 하노이에 65층 규모의 복합단지 ‘롯데센터 하노이’를 개장한다.
arete@seoul.co.kr
2010-05-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