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고용 5년째 ‘제자리’

10대 그룹 고용 5년째 ‘제자리’

입력 2010-01-16 00:00
수정 2010-01-17 10: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주요 기업들이 최근 고용을 늘리겠다고 잇따라 공언하고 있지만 실제 국내 10대 그룹의 고용은 5년째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상장사협의회에 신고된 계열사별 고용인원을 종합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현재 삼성과 LG,현대중공업,현대차,포스코,롯데,한진,GS,SK,금호아시아나 등 10대 그룹은 모두 44만5천159명을 고용하고 있다.

 이는 전년도 말보다 겨우 0.77%가 증가한 수치다.

 연도별 10대 그룹의 고용인원은 2005년 43만9천776명,2006년 44만2천667명,2007년 43만6천617명,2008년 44만1천739명 등을 각각 기록했다.결국 해마다 전년도에 비해 고용 인원이 1% 남짓 늘거나 주는 모양새로 2005년부터 2009년 3분기까지 약 5년간 1.22%가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체적으로는 고용이 감소한 곳(4개 그룹)보다 증가한 업체(6개 그룹)가 더 많았다.그러나 고용이 늘어난 그룹의 경우 증가세가 소폭(최고 18%)에 그친 반면 고용이 줄어든 기업의 감소율은 최고 31%를 기록하는 등 큰 폭의 인원 감축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GS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이 회사는 2005년 4천629명에서 2009년 3분기 5천468명으로 18.12%가 늘었다.대우건설을 인수해 계열사가 추가된 금호아시아나도 9.8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여기에 현대중공업(4.46%),삼성(4.99%) 등도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SK는 2005년 1만5천603명에서 2009년 3분기 1만764명으로 고용인원이 감소했고 롯데도 같은 기간 2만9천180명에서 2만2천25명으로 24.5%가 줄었다.

 현대경제연구소의 정유훈 선임연구원은 “사실 대기업은 사업이 고도화·안정화돼 경기가 호황일 때도 고용인원이 크게 늘어나거나 하지는 않는다”면서 “전체적인 일자리를 늘리려면 전체 고용인구의 80~90%를 책임지는 중소기업에 정부 정책의 초점을 둬야 한다”고 말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